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의 돌파구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에 뛰어들었다. 다만 이미 LFP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 중국산을 따라잡기에는 늦었다는 시각이 우세해 속도감 있는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업게에 따르면 LFP 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가격 차이는 작년 3분기 29%, 4분기32%, 올해 1분기 33%로 꾸준히 벌어지고 있다. LFP 배터리는 고가의 니켈, 코발트 대신 저렴한 인산철을 채용해 원가가 낮은 데다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장점이 있다. 그간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기업이 LFP 배터리에 주력한 데 반해, 국내 기업은 주로 NCM 배터리를 개발해왔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 거리가 NCM 배터리 대비 70~80%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캐즘 장기화로 완성차업체(OEM)가 보급형 전기차에 힘을 실으면서 LFP 배터리 탑재 비중이 점차 늘고 있다. 폭스바겐, 제너럴모터스(GM), 테슬라, 현대차 등 주요 OEM이 이미 LFP 배터리를 채용했고, 리비안, BMW, 스텔란티스 등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LG 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하반기 LFP 배터리를 양산해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 SDI와 SK온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제는 구갠 기업이 LFP배터리를 본격 양산하는 시점이면 중국 기업이 LFP 시장을 완전히 장악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광주 SNE 리서치 대표는 지난 24일 열린 이차전지 전문 콘퍼런스 'KABC 2024'에서 '국내 기업 양산 전에 중국 업체가 게약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고, OEM은 "한 번 배터리를 도입하면 쉽사리 교체하지 않는다"며 이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직면한 큰 과제라고 지적했다.
공급망까지 확보한 중국을 상대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남상철 포스코홀딩스 센터장은 "LFP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이 아닌 국가가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며 원재료 수급의 한계를 지적했다. 남 센터장은 "중국은 티타늄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기물인 황산철을 공짜로 가져다가 인산철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인산철이 저렴하다"며 "우리는 인산이 없어 구해와야 하기 때문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내 기업은 LFP에 망간을 추가해 에너지 밀도를 개선한 LFMP(리튬인산망간철)배터리를 개발하는 등 기술력으로 중국과의 격차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중저가 제품, LFP배터리 등에 대해 좀 늦은 상황이기는 하다"면서도 "연구능력, 기술력으로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존하 SK온 부사장도 "LFP는 이미 개발돼 있고, 가격적인 측면에서 여러가지 보완할 것이 있어 그 부분을 보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K배터리 #배터리업계 #캐즘장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