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트코코리아 GMO가공식품 수입 1위, 이마트 2위
GMO가공식품 수입액 11년간 527억→6501억, 12배↑
“안전성 평가 통과한 식품” vs “면역체계 약화 등 우려”
세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늘어난 식량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인류는 생물의 유전자를 변형∙재조합하기 시작했다. 제초제를 뿌려도 죽지 않는 ‘제초제 내성’ 콩과 옥수수 등을 개발하며 생산성을 높인 것이다.
‘유전자변형 농산물’인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수입됐다. 식자재 수입을 시작으로 이제는
GMO를 활용한 수많은 가공식품이 한국인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특히 소비자에게 친숙한 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 업체를 통해
GMO 가공식품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품목 중 과자류·빵류·떡류 1위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실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GMO 가공식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업체는 ‘코스트코코리아’로 약 2868억원(5만3746t)에 달했다.
이어 같은 기간 ‘이마트‘가 1645억원(2만4858t)을, ‘엘에프푸드’(모노마트와 일식 외식체 ‘하코야’ 운영) 1174억원(2만2410t), ‘코리아후드써비스’(맥도날드에 식재료 공급) 974억원(1만7214t), ‘이멕스무역’ 755억원(1만6829t), ‘가토코’(아워홈 등 대기업에 급식 식자재 공급) 485억원(1만4738t), ‘마틴브라워코리아천안지점’ 482억원(1만9300t), ‘주식회사 비케이알’(버거킹 식재료 공급) 477억원(2만2569t)을 사용했다.
GMO 가공식품 수입업체는 2013년 348개에서 2023년 1138개로 3배 이상 늘었다. 수입금액은 같은 기간 527억원에서 6501억원으로 12배 가량 급증했다.
GMO 가공식품이 우리 식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이다.
품목별로는 과자·빵·떡류가 4719억원(11만t)으로 가장 많았고 농산가공식품류 2246억원(12만5354t), 조미식품 1040억원(2만2041t), 코코아가공품·초콜릿류 640억원(7678t), 절임류·조림류 325억원(4만5070t) 등이었다.
◆“소비자 알권리 강화해야”
GMO 가공식품 섭취가 급증함에 따라 규제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규제를 반대하는 쪽에선 현실적으로
GMO 활용 없이는 식품 가격을 낮출 수 없어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미 유전적으로 개량된 농산물이 대량 생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완전한 ‘
GMO 제로 섭취’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규제를 강화할수록 오히려 검증이 어려운 수입산 ‘
Non-GMO’(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지 않은 식재료)가 우리 식탁을 대체하는 모순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당국에선 엄격한 기준에 따라 안전성 평가를 하는 ‘안전 식품’이라고 밝혔다.
|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반면 규제를 찬성하는 쪽에선
GMO를 장기간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면역체계가 약화되고 알러지 반응이 유발되는 실험 결과가 있다는 것이다. 다만 수입 자체를 막자는 게 아니라 ‘
GMO완전표시제’ 등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GMO완전표시제는 유전자 변형작물을 사용했을 경우 모두 표시하는 제도로, 현재는 제조가공 후 유전자변형
DNA 등이 남아 있는 식품에만 표시하도록 했다.
김현정 의원은 “
GMO 가공식품 수입이 지난 10년 간 급증했고 이런 추세가 최근 더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 외식 업체를 통해 유통되고 있는
GMO 가공식품에 대해 제대로 알고 사먹을 수 있도록
GMO완전표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비자 눈높이에 맞게
GMO를 이용한 식품에 대한 (인센티브 차원에서) 표시제를 개선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